개학을 맞는 자녀의 면역력, 집중력, 에너지 증진를 위한 필수 영양소
핵심 요점
- 어린이 영양은 면역 건강, 뇌 기능 및 학업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학령기 아동의 70%가 한 가지 이상의 비타민이나 미네랄이 현저히 부족하여 건강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보충제는 자녀의 인지 기능, 면역 건강 및 전반적인 건강에 필요한 필수 영양소를 섭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자녀의 건강한 학기를 위한 준비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라면 자녀가 1년 중 9개월 동안 건강하고 집중력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잘 알고 계실 것입니다.
하지만 기술 환경이 계속 진화하고 자녀의 성장과 발달로 영양 요구량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자녀의 건강과 학습 능력을 지원하는 일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학령기 아동은 다양한 식단 결핍에 노출될 위험이 높습니다. 미국 어린이의 약 70%가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필수 영양소가 현저히 부족하며, 이는 전반적인 건강과 학업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2-4
다행히도 일 년 내내 어린이의 면역 건강, 집중력 및 에너지를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되는 증거 기반 영양 전략이 있습니다.
면역 건강을 위한 어린이 보충제
아이들은 눈에 보이는 것은 무엇이든 손으로 만지고 싶어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이것저것 만진 손이 입으로 향하고는 합니다. 그렇다면 부모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아이의 면역력을 높여주는 것입니다. 이를 위한 한 가지 방법은 프로바이오틱스입니다.
프로바이오틱스
프로바이오틱스는 충분한 양을 섭취할 경우 신체의 전반적인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살아있는 박테리아와 효모입니다.5 여러 효능이 있지만, 이러한 '유익한' 박테리아는 특히 다음과 같은 작용으로 면역 건강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면역 기능 자극6-8
- 점막 장벽 지원5,9,10
- 장내 미생물의 균형 유지를 돕는 화합물 분비11,12
- '유해한' 박테리아와 경쟁하여 영양분 확보5,9,10
- 유해한 박테리아의 장내 정착 억제14,15
게다가 연구에 따르면, 자녀의 장내 미생물 환경에서 ‘유익균’의 비중을 높이면 자녀가 개근상을 받아 자부심을 느낄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실제로 식품이나 보충제를 통해 프로바이오틱스를 아이의 식단에 포함시키면 건강한 면역 기능을 지원하고 어린이집이나 학교에 결석하는 일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16-18
심각한 부작용은 드물지만, 프로바이오틱스 요법을 시작하기 전에 소아과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19 또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마다 임상 효과와 안전성 프로필이 다르기 때문에 자녀에게 추천할 만한 특정 종이나 균주에 대해 소아과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타민과 미네랄
적절한 면역 기능에 필요한 미량 영양소를 섭취하도록 하는 것도 자녀의 면역력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미량 영양소란 전반적인 건강 유지를 위해 체내에서 소량으로 필요로 하는 비타민과 미네랄을 말합니다.
비타민A, C, D, 비타민B6 및 B12, 비타민E, 엽산, 아연, 마그네슘, 셀레늄은 면역 반응의 모든 단계에서 중요하고 종종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미량 영양소는 특히 다음과 같은 주요 역할을 합니다.
- 항산화 메커니즘을 통해 면역 세포 지원
- 선천 면역의 세포 과정을 지원
- 체내 유입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물리적 장벽(예: 피부, 점막)의 구조적 및 기능적 무결성을 지원20
하지만 이게 다가 아닙니다. 필수 비타민과 미네랄은 면역 건강 외에도 에너지 생성, 인지 기능, 두뇌 건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량 영양소
어린이는 미량 영양소 결핍의 위험이 높습니다.
음식으로 영양을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비타민과 미네랄 보충제의 장점은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입맛이 까다롭고 식욕이 적어 비타민A, C, D, E와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의 일일 권장량을 충족하지 못하는 어린이에게 특히 유용합니다.21,22
조언이 필요하신가요? 가능하면 자녀에게 다양한 영양 식품을 제공하되, 식단에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종합비타민 보충제 섭취를 추가로 고려해 봅니다.
연구에 따르면 단일 또는 복합 미량 영양소 보충제를 섭취한 학령기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영양 결핍이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 유동성 지능(Fluid intelligence) 및 학업 성취도23
- 언어 학습 및 기억24
- 여러 주의력 측정 지표25
- 인지 기능 및 신경심리적 수행 능력26
오메가3
아이들의 학교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핵심 요소는 집중력, 주의력, 효과적인 사고 능력을 포함한 인지 건강입니다. 요즘 아이들은 iPad만 켜면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하거나 게임을 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의 손끝에 수많은 방해 요소가 있기 때문에 자녀의 주의력과 인지 기능 지원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하는 일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도움이 될 수 있는 두 가지 영양소는 오메가3 지방산인 EPA와 DHA입니다.
오메가3는 세포막의 구조적 구성 요소로서 신체 전체, 특히 신경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DHA는 인지 건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데, 여러 연구에서 DHA 수치가 높을수록 학업 성취도, 주의력, 인지 기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 27,28
예를 들어 DHA는 다음과 같은 작용으로 전반적인 인지 기능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 뇌 세포 간 소통 촉진27,28
- 뇌 활성화 지원29
- 학습 및 기억력의 다양한 측면 지원27-30
오메가3는 신경행동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어린이의 인지 건강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오메가3 보충제가 학령기 아동의 기분, 인지력, 부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한 연구에서는 EPA와 DHA를 보충한 후 인지 능력과 주의력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1
또한 학령기 남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다른 연구에서는 EPA와 DHA를 보충하면 부주의 증상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2 중요한 것은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가 건강한 대조군과 부주의한 병력이 있는 피험자 모두에서 관찰되었다는 점으로, EPA와 DHA가 어린 시절의 주의력을 보다 일반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32
결론
오늘날에는 단순히 노트와 예쁜 펜만 준비한다고 해서, 자녀가 건강하게 집중하고 학습할 준비가 끝나는 것은 아닙니다. 개학을 맞는 자녀에게 필요한 것을 고려할 때 무엇보다 중요한 일은 자녀의 인지 및 신체 건강을 우선순위에 두는 것입니다. 좋은 식습관을 길러주고 적절한 보충제 섭취 루틴을 확립하여 자녀가 학기 내내 원활한 학교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일반 고지 및 면책 조항:
이 글에서 언급한 정보는 오로지 교육 목적입니다. 기존 질환이 있거나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의해야 합니다. 여기서 제공한 정보는 현재까지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작성되었으며, 글 작성자와 후원사는 정보 자체의 정확성이나 정보의 사용 또는 오용으로 인한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참고문헌:
- Fulgoni VL, et al. J Nutr. 2011. 141(10): p. 1847-1854.
- Bryan J, et al. Nutrition Reviews. 2004. 62(8): p. 295-306.
- Yokoi K, Konomi A. Br J Nutr. 2017. 117(10): p. 1422-1431.
- Huskisson E, et al. J Int Med Res. 2007. 35(3): p. 277-289.
- Guarner F, G.J. Schaafsma. Int J Food Microbiol. 1998. 39(3): p. 237-8.
- Kechagia M, et al. ISRN Nutr. 2013. 481651.
- Zhang H, et al. Synth Syst Biotechnol. 2018. 3(2): p. 113-120.
- Wang X, et al. Molecules. 2021. 26(19):p. 6076.
- Madsen K et al. Gastroenterology. 2001. 121(3): p. 580-591.
- Ohland CL, MacNaughton WK.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10. 298: G807–G819.
- Clyne M,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2004. 101: p. 7409-7414.
- Sherman P, et al. Nutr Clin Pract. 2009. 24: p. 10.
- Ahmed M, et al. J Nutr Health Aging. 2007. 11(1): p. 26-31.
- Vandenbergh PA. FEMS Microbiol. Rev. 12: p. 221-238.
- Ciandrini E, et al. Appl Microbiol Biotechnol. 2016. 100(15): p. 6767-6777.
- King S, et al. Br J Nutr. 2014. 112(1): p. 41-54.
- Leyer G, et al. Pediatrics. 2009.124. E172-9.
- Hatakka K, et al. BMJ. 2001. 322: p. 1327
- Shira D, Snydman DR. Clin Infect Dis. 2015. 60(2): p. S129–S134.
- Gombart AF, et al. Nutrients. 2020.12(1): p. 236.
- Bailey RL, et al. Journal of Nutrition. 2010. 140 (4): p. 817-822.
- Moshfegh A, et al.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05.
- Eilander A, et al. AJCN. 2010. 91(1): p. 115–130.
- Osendarp SJ, et al. Am J Clin Nutr. 2007. 86: p. 1082 – 1093.
- Haskell C, et al.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2008. 100: p. 10861096.
- Sandstead HH et al. Am J Clin Nutr. 1998. 68(2 Suppl): p. 470S-475S.
- Dyall SC. Front Aging Neurosci. 2015. 21(7): p. 52.
- DiNicolantonio JJ, O’Keefe JH. Nutrients. 2020. 12(8): p. 2333.
- McNamara RK, et al. Am J Clin Nutr. 2010. 91: p. 1060–1067.
- Dalton A, et al.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s. 2009. 80(2-3): p. 143-9.
- Kean JD, et al. Psychopharmacology. 2017. 234(3): p. 403–420.
- Bos DJ, et al. Neuropsychopharmacology. 2015. 40(10): p. 2298-306.
면책사항:웰니스 허브의 취지는 의학적인 진단이나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