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션에 대한 기본 설정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고객님의 계정 설정을 영구적으로 변경하려면 내 계정으로 이동하세요.
원하는 수령 국가 또는 사용 언어를 내 계정에서 언제든지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 beauty2 heart-circle sports-fitness food-nutrition herbs-supplements pageview
클릭하여 iHerb 접근성 정책 보기
₩40,000 이상 주문 시 무료배송
checkoutarrow

장 건강부터 기분 개선까지 과학적으로 입증된 프로바이오틱스의 8가지 효능

109,029 조회수
근거 기반

근거 기반

iHerb는 엄격한 소싱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며 동료 평가 연구, 학술 연구 기관, 의학 저널 및 저명한 미디어 사이트에서 자료를 가져옵니다. 이 배지는 페이지 하단의 참고 문헌 섹션에서 연구, 리소스 및 통계 목록을 찾을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anchor-icon 목차 dropdown-icon
anchor-icon 목차 dropdown-icon

2017년 7월 원문 게시 / 2025년 8월 수정

프로바이오틱스란 무엇인가요?

프로바이오틱스 사람의 장내에 서식하는 유익한 박테리아입니다. 프로바이오틱(Probiotic)이라는 단어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생명을 위한'이라는 뜻입니다.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

프로바이오틱스 제조사는 살아 있는 다양한 형태의 유익한 박테리아를 안전하게 동결 건조한 후, 이를 캡슐이나 액상, 식품 형태로 만들어 인간의 장내에서 다시 활성화되도록 합니다. 

프로바이오틱스 식품

프로바이오틱스는 요구르트, 숙성된 치즈나 생치즈, 케피어, 김치, 사우어크라우트, 미소 된장 같은 발효식품에도 들어 있습니다. 이러한 식품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함유되어 있는데,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의 주성분인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이 들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누가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해야 할까요?

간단히 말해 거의 모든 사람이 프로바이오틱스 섭취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의 다양한 건강 효능은 무려 1,000건이 넘는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을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되었습니다. 이러한 연구 대부분은 위장관 건강을 증진하고 면역 기능을 돕는 프로바이오틱스의 효과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당연히 이러한 효과를 기대하며 프로바이오틱스를 보충제로 섭취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하지만 임상 연구는 이 외에도 전반적인 건강 증진, 기분 개선, 심혈관 건강 증진, 여성의 질 및 요로 건강 증진 등 여러 건강 목표에도 프로바이오틱스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1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를 고려해야 하는 10가지 주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항생제 복용 중인 사람 
  2. 영유아 및 어린이의 면역력 및 장 건강 지원
  3. 알레르기가 있는 영아(습진 및 천식 위험이 있음) 
  4.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이 있는 사람
  5. 장 장벽 기능이 저하된 사람 또는 ‘장누수’가 있는 사람 
  6. 기타 위장관 문제가 있는 사람 
  7. 질 또는 요로 감염이 반복되는 여성 
  8. 여행자 설사 위험이 높은 지역을 방문하는 사람
  9. 식습관이 좋지 않거나 만성 스트레스를 겪는 사람
  10. 처방약 또는 일반 의약품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사람  

프로바이오틱스의 건강 효능

프로바이오틱스는 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전반적인 건강을 지원하는 유익한 박테리아입니다.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합니다.

  • 장벽 형성: 유해한 미생물이 장 내벽에 부착하지 못하도록 막아줍니다.
  • 장내 환경 개선: 장에 영양을 공급하고 다른 유익한 박테리아가 번성하도록 돕는 유익한 화합물을 생성합니다.
  • 장내 '불균형' 예방: 건강한 미생물 균형 유지를 도와 가스, 복부 팽만감, 소화 불량과 같은 소화기 문제를 예방하는 데 기여합니다.

프로바이오틱스가 소화기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주요 영역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위 자극

위 자극(소화불량)은 위벽에 서식하여 위의 보호 장벽을 약화시키는 나선형 박테리아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위산분비 차단제와 항생제(때로는 비스무트 포함)를 함께 사용하는 삼중 또는 사중 요법으로 박멸 치료를 진행합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이러한 삼중 요법의 보조요법으로 치료 효과를 높이고, 특히 항생제 관련 설사(AAD)와 같은 부작용을 줄이는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모든 균주가 효과적인 것은 아니지만, 여러 이중맹검 연구에서 특정 프로바이오틱스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박멸률을 높이고, 증상을 완화하며, 약물 관련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10,11

2020년의 한 메타 분석에서는 34건의 이중맹검 연구(환자 9,004명)를 종합한 결과, 프로바이오틱스를 삼중 요법에 추가했을 때 치료 효과가 향상되었으며, 특히 비피도박테리움-락토바실러스 조합과 비피도박테리움-락토바실러스-사카로마이세스 조합은 각각 78.3%와 88.2%의 박멸률을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1

최적의 결과를 얻으려면 14일 치료 과정 1주 전, 치료 중, 치료 후 1주 동안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를 섭취하여 박멸을 개선하고 마이크로바이옴을 보호하는 것이 좋습니다.11,12

2.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및 소장 세균 과증식(SIBO)

기능성 위장관 장애인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현재 주로 장내 미생물 불균형 및 소장 세균 과증식(SIBO)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SIBO는 가스, 복부 팽만감, 피로 및 인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3

프로바이오틱스, 특히 젖산 생성 균주(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는 SIBO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14 프로바이오틱스가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은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도출했습니다.15 그러나 최근 43건의 임상시험(환자 5,531명)을 검토한 결과, 증상 완화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바실러스 코아귤란스가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습니다.16 8건의 이중맹검 임상시험이 그 효능을 뒷받침합니다. 최근 80일 동안 하루 60억 CFU를 섭취한 연구에 따르면 복통, 복부 팽만감, 배변 습관, 심지어 불안감까지 크게 개선되었으며, 연구 종료 시 63%의 피험자가 증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7

3. 면역 지원

프로바이오틱스는 장 관련 림프 조직(GALT)에 영향을 미쳐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여러 임상시험에서 특히 어린이와 노인의 경우에는 특정 균주가 상기도 감염(URTI)의 발생률과 지속 기간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20건의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에 대한 메타 분석에서 프로바이오틱스는 1건 이상의 급성 요로감염을 경험한 참가자 수를 42%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질병 지속 기간을 1.89일 단축시켰습니다.18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L. 카제이,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는 면역 지원에 가장 효과적인 균주 중 하나입니다.19

4. 항생제 관련 설사(AAD)

프로바이오틱스의 가장 잘 알려진 활용 중 하나는 항생제 관련 설사(AAD)의 예방입니다. 항생제를 복용할 경우 장내 미생물군이 파괴되어 불균형이 초래되며, 이로 인해 약 35%의 사람들이 설사를 겪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클로스트리듐 디피실(Clostridium difficile)과 관련된 중증 설사를 포함해 AAD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잘 입증되었습니다. 메타 분석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를 조기에(항생제 투여 시작 후 48시간 이내) 사용하면 결과가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6건의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9,312명 참여)을 종합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 섭취로 AAD가 38% 감소했는데, 특히 2일 이내에 섭취 시작한 경우 46%, 3~7일 사이에 섭취 시작한 경우는 21% 감소를 보여 프로바이오틱스를 일찍 시작할수록 더 높은 효능이 나타났습니다.4 또 다른 메타 분석에서는 입원 환자의 C. 디피실 관련 설사가 58%, 고위험군 어린이와 성인의 설사가 7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5

5. 여행자 설사

프로바이오틱스는 주로 개발도상국 여행 중 오염된 음식이나 물로 인해 매년 약 4천만 명이 걸리는 여행자 설사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독성 대장균(E. coli) 균주, 캄필로박터(Campylobacter), 기생충, 바이러스 등이 원인입니다. 여행자 설사는 보통 1~4일 이내에 해결되지만, 1/3의 경우 최대 3개월 동안 증상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의 여행자 설사 예방 효과를 평가한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들은 다양한 균주를 사용했기 때문에 결과가 일관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임상시험을 종합한 메타 분석은 균주별 차이를 반영하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8,9 그러나 6건의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 표적 메타 분석에서는 사카라마이세스 보울라디(Saccharomyces boulardii)가 여행자 설사 발생률을 21% 유의하게 감소시킨 유일한 프로바이오틱스로 확인되었습니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긍정적인 경향을 보인 한편, L. 애시도필러스(L. acidophilus)와 다른 균주는 아무런 효과도 나타내지 않았습니다.9

6. 기분과 뇌 건강

장-뇌 축이 정신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점차 밝혀지고 있는 가운데, 프로바이오틱스(때때로 사이코바이오틱스라고도 불림)는 신경전달물질의 활동, 염증 반응, 스트레스 반응 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0 

3,014명이 참여한 34건의 인체 임상시험에 대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는 특히 경증에서 중등도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의 우울증과 불안 점수를 크게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1 L. 플랜타룸 아종 JYLP-326, L. 헬베티쿠스 R0052, B. 브레브 CCFM1025, B. 롱검 R0175와 같은 균주가 특히 효과적이었지만 일반적으로 다중 균주 프로바이오틱스가 단일 균주보다 더 일관된 효과를 나타냈습니다.22

프로바이오틱스 개입은 스트레스 관련 장 증상과 염증 표지자를 감소시켜 노인의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3

7. 여성 건강 지원

프로바이오틱스는 질내 pH를 낮게 유지하고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여 질과 요로 건강에 기여합니다. 임상시험에 따르면 락토바실러스 균주(특히 L. 람노서스 GR-1 및 L. 루테리 RC-14)의 경구 및 질내 사용은 세균성 질염(BV) 및 요로 감염(UTI)의 재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4

한 연구에 따르면, 이 균주를 매일 경구 보충제로 섭취하면 위약에 비해 6개월 동안 BV의 재발이 현저히 감소했습니다.25

프로바이오틱스는 여성의 호르몬 균형과 장 건강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인슐린 민감성, 염증 표지자, 월경 규칙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26

8. 체중 관리 및 대사 건강

특정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는 식욕 조절, 지방 저장, 인슐린 민감성 및 전신 염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0년 27건의 무작위 임상시험에 대한 메타분석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는 특히 과체중 및 비만 성인의 체중, BMI, 허리둘레를 소폭이지만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7

가장 효과적인 결과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L. 람노서스,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를 포함한 다중 균주 제형에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균주는 장 장벽 기능과 내독소 부하에 영향을 미쳐 대사 건강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28 프로바이오틱스는 공복 혈당, 인슐린 저항성(HOMA-IR), 지질 프로필을 개선하는 것으로도 나타났습니다.29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는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 특히 LDL 콜레스테롤, 총 콜레스테롤, 일부 경우 HDL 및 중성지방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효과는 담즙산의 분해,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에 의한 콜레스테롤 동화, 장내 단쇄 지방산 생성 조절 등 여러 가지 메커니즘을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32건의 무작위 대조군 시험(1,971명 참여)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7년의 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는 총 콜레스테롤을 6.4mg/dL, LDL-C를 4.9mg/dL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효과는 멀티 균주 프로바이오틱스를 사용했을 때, 그리고 그 기간이 8주를 초과했을 때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30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2020년의 또 다른 메타 분석에서는 총 콜레스테롤이 최대 13.4mg/dL, LDL-C가 10.1mg/dL 감소하는 등 더 많은 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 루테리 NCIMB 30242, L. 애시도필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롱검은 지질 프로필 개선에 가장 일관된 효과를 보여주었습니다.32,33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는 품질이 중요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의 품질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요소에 좌우됩니다. 

  1. 보충제에 포함된 균주의 특성
  2. 섭취 시점에 충분한 수의 균이 생존해 있는지(생존력) 여부 

섭취 시점 프로바이오틱스의 생존 능력은 적절한 제조 공정을 거쳤는지, 균주가 강인한지, 적절한 습도 및 온도에서 제품이 포장되고 보관되었는지와 같은 요소에 좌우됩니다.34

섭취 용량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의 섭취 용량은 일반적으로 제품에 존재하는 살아 있는 미생물의 수에 기반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제조 시점 대비 유통기한 만료 시점의 살아 있는 균주 수를 표시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조 시점의 살아 있는 균주 수는 별 의미가 없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매일 50억~200억의 균주를 섭취하면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여러 임상 연구에 따르면 위장관 문제가 있는 사람이 이 범위의 용량으로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면 훨씬 더 높은 용량을 사용했을 때보다 일반적으로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반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는 음식과 함께 섭취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음식은 위의 산도를 낮추고 프로바이오틱스에 영양을 공급하며 장까지 운반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자주 묻는 질문

프로바이오틱스로 효과를 보려면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가요?

일반적으로 원하는 건강 목표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배변 규칙성을 개선하는 경우 하루나 이틀 안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경우에는 최대 4~6주가 소요될 수 있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프로바이오틱스는 살아 있는 유익한 박테리아입니다. 프리바이오틱스는 저항성 덱스트린, 이눌린, FOS와 같이 소화되지 않는 섬유소로 장내 박테리아의 먹이가 됩니다.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열 처리된 박테리아나 효모 또는 프로바이오틱스가 생성하는 생활성 화합물(예: 부티레이트와 같은 단쇄 지방산)을 말합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매일 섭취해도 되나요?

예, 프로바이오틱스는 매일 섭취할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 프로바이오틱스가 필요한가요?

소화 장애, 장내 미생물 불균형이 있거나 관련 건강 문제가 있는 경우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를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가 필요한 흔한 징후와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잦은 소화 불편 – 복부 팽만감, 가스, 변비, 설사, 소화불량
  • 항생제 복용 – 특히 설사 또는 소화 장애를 동반한 경우
  • 감염 재발 – 요로 감염 또는 효모 감염 등
  • 음식 과민증 또는 민감성 – 특히 유제품 또는 특정 섬유소 관련
  • 피부 문제 – 습진, 여드름, 주사비 등
  • 면역력 약화 – 감기에 자주 걸리거나 질병 회복이 느린 경우
  • 기분 변화 – 장-뇌 축과 연관된 불안, 브레인 포그, 기분 저하
  • 입 냄새나 혀에 설태가 있는 경우 – 구강 또는 장내 불균형의 신호

이러한 증상은 장내 미생물 군집의 불균형을 나타낼 수 있으며, 프로바이오틱스를 사용하면 균형을 회복하고 소화를 개선하며 전반적인 건강을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1. Colella M, Charitos IA, Ballini A, et al. Microbiota revolution: How gut microbes regulate our lives. World J Gastroenterol. 2023 Jul 28;29(28):4368-4383. 
  2. Zeng Q, Li P, Wu H, Zhuang Y, et al. Probiotics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 umbrella meta-analysis of therapeutic efficacy. Eur J Med Res. 2025 Jun 23;30(1):515. 
  3. Tüsüz Önata E, Özdemir Ö. Microbiome, dysbiosis and use of probiotics in various diseases. World J Virol. 2025 Jun 25;14(2):99574. 
  4. Rueda-Robles A, Rodríguez-Lara A, Meyers MS, et al.  Effect of Probiotics on Host-Microbiota in Bacterial Infections. Pathogens. 2022 Aug 29;11(9):986.
  5. Liao W, Chen C, Wen T, Zhao Q. Probiotics for the Prevention of Antibiotic-associated Diarrhea in Adult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J Clin Gastroenterol. 2021 Jul 1;55(6):469-480.
  6. Goldenberg JZ, Yap C, Lytvyn L, et al.  Probiotics for the prevention of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arrhea in adults and childre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7 Dec 19;12(12):CD006095.
  7. Zhang L, Zeng X, Guo D, Zou Y, Gan H, Huang X. Early use of probiotics might prevent antibiotic-associated diarrhea in elderly (>65 yea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C Geriatr. 2022 Jul 6;22(1):562.
  8. Shen NT, Maw A, Tmanova LL 등. . Timely Use of Probiotics in Hospitalized Adults Prevents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Regression Analysis. Gastroenterology. 2017 Jun;152(8):1889-1900.e9.
  9. Collinson S, Deans A, Padua-Zamora A, et al.  Probiotics for treating acute infectious diarrhoea.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20 Dec 8;12(12):CD003048.
  10. McFarland LV, Goh S. Are probiotics and prebiotics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travellers’ diarrh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ravel Med Infect Dis. 2019 Jan-Feb;27:11-19.
  11. Shi X, Zhang J, Mo L, Shi J, Qin M, Huang X. Efficacy and safety of probiotics in eradicating Helicobacter pylori: A network meta-analysis. Medicine (Baltimore). 2019 Apr;98(15):e15180.
  12. Wang Y, Wang X, Cao XY, Zhu HL, Miao L.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different probiotics supplements for triple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a network meta-analysis. Front Cell Infect Microbiol. 2023 May 15;13:1120789.
  13. He C, Xie Y, Zhu Y, et al.  Probiotics modulate gastrointestinal microbiota after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A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Front Immunol. 2022 Nov 8;13:1033063.
  14. Shah A, Talley NJ, Holtmann G. Current and Future Approaches for Diagnosing Small Intestinal Dysbiosis in Patients With Symptoms of Functional Dyspepsia. Front Neurosci. 2022 May 6;16:830356.
  15. Rao SSC, Rehman A, Yu S, Andino NM. Brain fogginess, gas and bloating: a link between SIBO, probiotics and metabolic acidosis. Clin Transl Gastroenterol. 2018 Jun 19;9(6):162.
  16. Konstantis G, Efstathiou S, Pourzitaki C,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probiotics in the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linical trials using ROME IV criteria. Clin Nutr. 2023 May;42(5):800-809.
  17. Zhang T, Zhang C, Zhang J, Sun F, Duan L. Efficacy of Probiotics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Front Cell Infect Microbiol. 2022 Apr 1;12:859967.
  18. Gupta AK, Maity C. Efficacy and safety of Bacillus coagulans LBSC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 prospective, interventional,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study [CONSORT Compliant]. Medicine (Baltimore). 2021 Jan 22;100(3):e23641.
  19. Hao Q, Dong BR, Wu T. Probiotics for preventing acute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5;(2)\:CD006895. 
  20. Moshfeghinia R, Nemati H, Ebrahimi A, et al. The impact of probiotics, prebiotics, and synbiotics on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of patients with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Psychiatr Res. 2025 Aug;188:104-116. 
  21. Liu RT, Walsh RFL, Sheehan AE. Prebiotics and probiotics for depression and anxie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ontrolled clinical trials. Neurosci Biobehav Rev. 2019;102:13-23. 
  22. Sulaiman NNY, Mohamad Nizam NB, Mohd Noor NA, Lim SM, Ramasamy K, Alabsi AM, Ismail MF.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appraisal of the pathophysiologic mechanisms of probiotics in alleviating depression. Nutr Neurosci. 2025 Jul 16:1-21. 
  23. Wiegers C, Doğan S, Metzelaar M, Larsen OFA. The role of probiotics in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performance of older adults: a meta-analysis. Benef Microbes. 2025 Jun 6:1-15. 
  24. Reid G, Charbonneau D, Erb J, et al. Oral use of Lactobacillus rhamnosus GR-1 and L. fermentum RC-14 significantly alters vaginal flor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in 64 healthy women. FEMS Immunol Med Microbiol. 2003;35(2):131-134. 
  25. Ya W, Reifer C, Miller LE. Efficacy of vaginal probiotic capsules for recurrent bacterial vaginosis: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Am J Obstet Gynecol. 2010;203(2):120.e1–6. 
  26. Karamali M, Dadkhah F, Sadrkhanlou M, et al. Effects of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glycemic control and lipid profiles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Fertil Steril. 2018;110(4):733-739. 
  27. John GK, Wang L, Nanavati J, et al. Dietary alteration of the gut microbiome and its impact on weight and fat mas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enes (Basel). 2018;9(3):167. 
  28. Kadooka Y, Sato M, Ogawa A, et al. Effect of 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in fermented milk on abdominal adiposity in adults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r J Nutr. 2013;110(9):1696-1703. 
  29. Kassaian N, Feizi A, Aminorroaya A, Jafari P, Ebrahimi MT. Effects of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glycemic control: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linical trials. J Diabetes Metab Disord. 2019;18(1):97-112. 
  30. Guo Z, Liu XM, Zhang QX, et al. Influence of consumption of probiotics on the plasma lipid profil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utrition, Metabolism & Cardiovascular Diseases. 2011;21(11):844–850. 
  31. Cho YA, Kim J. Effect of probiotics on blood lipid concentration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Medicine (Baltimore). 2020;99(11):e19313. 
  32. Shimizu M, Hashiguchi M, Shiga T, Tamura HO, Mochizuki M. Meta-analysis: Effects of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lipid profile in normal to mildly hypercholesterolemic individuals. PLoS One. 2021;16(1):e0245533. 
  33. Jones ML, Martoni CJ, Parent M, Prakash S. Cholesterol-lowering efficacy of a microencapsulated bile salt hydrolase-active Lactobacillus reuteri NCIMB 30242 yoghurt formulation in hypercholesterolemic adults. Br J Nutr. 2012;107(10):1505–1513. 
  34. Pramanik S, Venkatraman S, Karthik P, Vaidyanathan VK. A systematic review on selection character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probiotics in human health. Food Sci Biotechnol. 2023 Jan 10;32(4):423-440.

면책사항:웰니스 허브의 취지는 의학적인 진단이나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자세히 알아보기